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는 1802년부터 1821년까지 사르데냐의 국왕이었다. 그는 사르데냐 왕세자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의 아들로, 1759년 토리노에서 태어났다.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형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가 프랑스에 의해 사르데냐로 추방된 후 왕위를 물려받았다. 나폴레옹 몰락 이후 토리노로 돌아와 제노바를 병합하고, 자유주의적 개혁을 폐지하는 등 보수적인 통치를 했다. 1821년 자유주의 혁명으로 퇴위하여 동생 카를로 펠리체에게 양위했으며, 1824년 몬칼리에리 성에서 사망했다. 그의 자녀로는 마리아 베아트리체, 마리아 안나, 마리아 테레사, 마리아 크리스티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오스타 공작 -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는 사보이아 공작이자 사르데냐 왕국의 왕으로,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내정 개혁, 군대 강화, 교육 진흥, 예술 분야 발전에도 기여했다. - 아오스타 공작 - 아마데오 1세
아마데오 1세는 스페인 국왕으로 즉위했으나 정치적 혼란으로 자진 퇴위하고 이탈리아로 돌아가 아오스타 공작 칭호를 사용했으며, 여러 지명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 사르데냐 국왕 -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는 사보이아 공작이자 사르데냐 왕국의 왕으로,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과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내정 개혁, 군대 강화, 교육 진흥, 예술 분야 발전에도 기여했다. - 사르데냐 국왕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사보이아 왕가 출신으로, 카부르 백작과 협력하여 리소르지멘토를 이끌고 이탈리아 왕국을 건국하여 통일 이탈리아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 자코바이트 왕위 요구자 -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제임스 2세의 아들로, 가톨릭 신앙 때문에 명예혁명의 원인이 되었고, 아버지의 폐위 후 영국 왕위 계승을 주장하며 여러 차례 왕위 획득을 시도했으나 실패 후 로마에서 망명 궁정을 운영했다. - 자코바이트 왕위 요구자 -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보니 프린스 찰리"라는 애칭으로 알려진 18세기 자코바이트 반란 지도자이자 스튜어트 왕가의 왕위 요구자였으나, 컬로든 전투에서 패배 후 망명 생활을 하며 왕위 계승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Vittorio Emanuele di Savoia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디 사보이아) |
출생 | 1759년 7월 24일 |
출생지 | 토리노 왕궁, 토리노, 사르데냐 왕국 |
사망 | 1824년 1월 10일 (64세) |
사망지 | 몬칼리에리 성, 토리노, 사르데냐 왕국 |
매장지 | 수페르가 대성당, 토리노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 | |
왕위 | |
작위 | 사르데냐 국왕 사보이 공작 |
통치 기간 | 1802년 6월 4일 – 1821년 3월 12일 |
이전 통치자 |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 |
다음 통치자 | 카를로 펠리체 |
가문 | |
왕가 | 사보이 가문 |
아버지 |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
어머니 | 마리아 안토니아 페르디난다 디 스파냐 |
결혼 및 자녀 | |
자녀 | 마리아 베아트리체, 모데나 여공작 마리아 테레사, 파르마 여공작 마리아 안나, 오스트리아 황후 마리아 크리스티나, 양시칠리아 왕비 |
2. 생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는 1759년 토리노 왕궁에서 사르데냐 왕세자 비토리오 아메데오(훗날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와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의 딸인 마리아 안토니아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출생 당시부터 아오스타 공작으로 알려졌다.[1]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가 1802년 아내 클로틸데 왕비가 사망하자 동생 비토리오 에마누엘레에게 왕위를 물려주면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는 1802년 6월 4일에 사르데냐 국왕으로 즉위했다.[1] 이후 12년 동안 칼리아리에서 사르데냐를 통치하며 카라비니에리 군단을 창설했다.
1814년 나폴레옹이 몰락하자,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는 토리노로 돌아왔고, 빈 회의를 통해 사르데냐 왕국은 이전 제노바 공화국 영토를 추가로 획득하며 재건되었다. 그는 나폴레옹 법전을 폐지하고 과거의 억압적인 법을 복원했으며, 자유주의 헌법 도입을 거부했다. 또한, 유대인과 왈도파를 차별하는 법률을 다시 도입했다.
1821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는 혁명가들이 원하는 자유주의 헌법을 허용하지 않고, 그의 형제인 사보이아의 카를로 펠리체를 위해 퇴위했다. 퇴위 후 여러 도시에서 살다가 1824년에 몬칼리에리 성에서 사망하여 수페르가 대성당에 묻혔다.[1][2]
2. 1. 초기 생애
비토리오 에마누엘레는 1759년 토리노 왕궁에서 사르데냐 왕세자 비토리오 아메데오(훗날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와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의 딸인 마리아 안토니아 사이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출생 당시부터 아오스타 공작으로 알려졌다.[1]2. 2. 사르데냐 국왕 즉위
카를로 에마누엘레 4세는 1798년 프랑스군에게 토리노를 빼앗기고 사르데냐 섬으로 피신해야 했다. 그는 사르데냐 통치에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1802년 아내 클로틸데 왕비가 사망하자 동생 비토리오 에마누엘레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1]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는 1802년 6월 4일에 사르데냐 국왕으로 즉위했다. 이후 12년 동안 칼리아리에서 사르데냐를 통치하며 카라비니에리 군단을 창설했다. 카라비니에리는 현재까지 이탈리아군의 주요 부대 중 하나로 남아있다.
2. 3. 통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는 1802년 6월 4일에 왕위에 올라 1814년까지 칼리아리에서 사르데냐 섬을 통치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이탈리아군의 주요 부대 중 하나인 카라비니에리(국가 헌병) 군단을 창설했다.[1]
1814년 나폴레옹이 몰락하자,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는 토리노로 돌아왔다. 빈 회의를 통해 사르데냐 왕국은 이전 제노바 공화국 영토를 추가로 획득하며 재건되었고, 제노바는 사르데냐 해군의 본부가 되었다. 그는 나폴레옹 법전을 폐지하고 과거의 억압적인 법을 복원했다.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의 ''Regie Costituzioni''와 ''Jus commune''을 복원하고, 관세 장벽을 강화했으며, 자유주의 헌법 도입을 거부했다. 또한, 교육을 가톨릭 교회에 위탁하고, 유대인과 왈도파를 차별하는 법률을 다시 도입했다.
2. 4. 퇴위와 사망
1821년 3월 11일 일요일, 국왕은 사르데냐의 카를로 알베르토를 포함한 왕실 자문회의를 소집했다. 그러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는 혁명가들이 원하는 자유주의 헌법을 기꺼이 허용하려 하지 않았고, 다음 날인 1821년 3월 13일, 그의 형제인 사보이아의 카를로 펠리체를 위해 퇴위했다. 카를로 펠리체가 당시 모데나에 있었기 때문에 비토리오 에마누엘레는 섭정을 왕위 계승 서열 2위인 사르데냐의 카를로 알베르토에게 잠시 위임했다.퇴위 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는 여러 도시에서 살다가 1824년에 몬칼리에리 성에서 사망했다. 그는 수페르가 대성당에 묻혔다.[1][2]
3. 자녀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테레사와 결혼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다.[1]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마리아 베아트리체 | 1792년 12월 6일 | 1840년 9월 15일 | 모데나 공작 프란체스코 4세와 결혼[1] |
마리아 아델라이데 | 1794년 10월 1일 | 1795년 8월 2일 | 유아기에 사망[1] |
카를로 에마누엘레 | 1796년 9월 3일 | 1799년 8월 9일 | 천연두로 사망[1] |
이름 없음(딸) | 1800년 11월 13일 | 1801년 1월 10일 | [1] |
마리아 안나 | 1803년 9월 19일 | 1884년 5월 4일 | 오스트리아의 페르디난트 1세와 결혼[1] |
마리아 테레사 | 1803년 9월 19일 | 1879년 7월 16일 | 파르마의 카를로 2세와 결혼[1] |
마리아 크리스티나 | 1812년 11월 14일 | 1836년 1월 21일 | 페르디난도 2세와 결혼[1] |
4. 가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는 1남 6녀를 두었다.
- 모데나와 레조 공작 부인 마리아 베아트리체(1792~1840)
- 마리아 아델라이데(1794~1795)
- 아오스타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레(1796~1799)
- 딸(1800~1801)
- 루카와 파르마 공작 부인 마리아 테레사(1803~1879)
- 오스트리아 황후 마리아 안나(1803~1884)
- 양시칠리아 왕국 왕비 마리아 크리스티나(1812~1836)
4. 1. 선조
순번 | 이름 |
---|---|
1 | 사르데냐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
2 | 사르데냐의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
3 | 스페인의 마리아 안토니아 페르난디나 |
4 | 사르데냐의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 |
5 | 헤센로텐부르크의 폴리세나 |
6 | 스페인의 펠리페 5세 |
7 | 엘리사베타 파르네세 |
8 | 사르데냐의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
9 | 오를레앙의 안 마리 |
10 | 헤센로텐부르크 방백 에른스트 레오폴트 |
11 | 로벤슈타인베르트하임로슈포르 공녀 엘레오노레 |
12 | 루이, 프랑스 도팽 |
13 | 바이에른 여공작 마리아 안나 |
14 | 파르마의 에도아르도 파르네세 상속공 |
15 | 노이부르크 팔츠 백작부인 도로테아 조피 |
참조
[1]
웹사이트
Important dates - Monaco Monte-Carlo
https://www.monte-ca[...]
2024-06-25
[2]
서적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3]
브리타니카百科事典
Victor Emmanuel I king of Sardinia
https://www.britanni[...]
[4]
간행물
Victor Emmanuel 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